세림세무법인

	
	
    
	    
    
    
    
	









장부기장 서비스

home 기장&자문 서비스장부기장 서비스세무 실무 상담 사례

세무 실무 상담 사례

제목
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 (2021. 08. 06)
 인쇄
작성자
강삼엽
조회수
3,737
날짜
2021-08-06
첨부파일

 

 제목 :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              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1> 연 수입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의 건강보험료 부과시점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1) 연 수입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은 소득세법에 따른 한시적 비과세 기간 (2014~2018년)이 종료되어  2019년 귀속 소득분에 대해
         2020년 11월분부터 건강보험료가 부과된다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 (2020년 귀속분 -> 2021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-> 2021년 11월에 국세청과 건강보험공단 연계되어 소득파악 -> 2021년 11월분부터
         지역가입자로 전환 -> 2021년 12월 10일부터 납부)              
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2> 주택임대소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보험료가 부과되는것은 아니며 "소득세법" 에 따른 과세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과세된다
     (1) 1주택 보유자는 임대소득이 있어도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 (기준시가 9억원 초과 및 국외 소재 주택은 1주택자도 과세)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2) 2주택자는 월세수입없이 보증금만 있으면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         
     (3) 3주택이상 다주택을 보유한 임대소득자의 경우에는 월세수입과 보증금에 대해 건강보험료가 부과된다      
    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3> "소득세법상" 과세요건을 충족한 경우라 하더라도 주택임대수입이 "건강보험" 과세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만 간강보험료가 부과된다
     (1)  분리과세 선택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임대주택 등록 한 경우 (세무서+지자체) -> 연 1천만원을 초과한 수입부터 건강보험료가 부과된다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  (필요경비 60% + 기본공제 4백만원 = 소득금액 0원)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임대주택 미등록 시 -> 연 4백만원을 초과한 수입부터 건강보험료가 부과된다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 (필요경비 50% + 기본공제 2백만원 = 소득금액 0원)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2)  종합과세 선택시 -> 주택임대소득을 포함한 모든 종합과세 대상 소득을 합산한 "종합소득금액" 에 건강보험료가 부과된다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4> 주택임대소득이 있는  피부양자의 자격요건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1)  분리과세 선택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임대주택 등록 한 경우 (세무서+지자체) -> 임대수입이 연 1천만원 이하이면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된다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  (필요경비 60% + 기본공제 4백만원 = 소득금액 0원)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임대주택 미등록 시 -> 임대수입이  연 4백만원 이하이면 피부양자자격이 유지된다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 (필요경비 50% + 기본공제 2백만원 = 소득금액 0원)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2)  종합과세 선택시 -> 이자,배당,사업,근로,연금,기타소득의 합계액이 연 3천4백만원 이하이면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된다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5> 주택임대소득 보험료 부과에 따른 제도의 조기 안착과 임대차시장 안정화를 고려해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의 차등 부과
     (1)  임대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주택임대소득으로 인해 증가된 건강보험료가 모두 부과된다 다만 주택임대소득으로 피부양자 제외자는 미등록해도 보험료  
              증가분의 30%를 1년간 한시적으로 경감한다 (2019년 소득 귀속분까지만 경감이 됨)        
     (2)  2020년 12월까지 주택임대등록을 하고 임대료 증액제한, 임대의무기간등을 이행하는 경우 부과기준 및 경감율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연수입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만 경감적용이 된다 (종합과세와 분리과세 모두 적용)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단기임대등록 (4년)자 -> 보험료증가분의 40%를 한시적으로 경감한다    (4년간 경감)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장기임대등록 (8년)자 -> 보험료증가분의 80%를 한시적으로 경감한다    (8년간 경감)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 -> 예) 2019년에 장기임대등록(8년)을 했다면 임대등록의무기간인 2026년까지 주택임대소득분에 대해 건강보험료 증가분에 대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한시적으로 80%를 감면한다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 -> 적용시점 예) 2019년에 임대등록 한 경우 2019년 소득분 부과시점인 2020년 11월부터 적용된다      
     (3)  건강보험료 증가분 정의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 (*) 직장,지역가입자 -> 해당연도의 "주택임대소득을 포함한 건강보험료" 에서 "주택임대소득을 제외한 건강보험료"의 차액  
          (*) 피부양자 제외자 -> "지역가입자" 전환으로 발생한 건강보험료 총액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6> 직장가입자가(근로소득이 있는자) 주택임대소득이 있고 과세요건(주택 수 기준)을 충족한다고 해서 모두다 주택임대소득에 대해  
      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것은 아님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1)  직장가입자에 대한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(보수)와 소득월액(보수 외 소득)으로 나누어진다        
         (*) 보수월액 건강보험료 -> 일반적으로 직장가입자로서 월평균급여에  보험요율을 곱하여 부과하는 보험료    
         (*) 소득월액 건강보험료 -> 보수외 소득  이자,배당,사업,연금,기타소득의 합계액이 연 3,400만원 초과하는 경우에 부과하는 보험료
            (주택임대소득은 보수외 소득의 유형중 "사업소득" 에 해당함)            
     (2) 따라서 주택임대소득이 있다고 하더라도 주택임대소득을 포함한 전체보수 외 소득의 합계액이 연 3,4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   
         보수월액 건강보험료외에  별도로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(지역가입자로서 부과되지 않음)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<7> 연 2천만원이하 금융소득(이자,배당)도 2019년 귀속 소득분 부터 건강보험료가 부과됨 (연 1천만원 초과자에 대해 우선부과)  
      (납부기준 : 2020년 11월 부터)  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1)  금융소득이 2천만원이하여서  종합소득세신고를 하지않아도 건강보험공단에서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지역건강보험료 부과시   
         합산하여 부과하고 있음  (현재  지역가입자일 경우)              
     (2)  다만 타소득이 없고 피부양자로 등재되어 있다면 이자,배당,사업,연금,기타소득의 합계액이 연 3,400만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 
          피부양자의 자격이 유지된다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<참고>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트 -> 정책센터 -> 정책홍보관 -> 분리과세 주택임대금융소득 부과안내      
게시글 SNS 공유
이전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용 공동인증서 (2021. 06. 15)
다음글 임직원 퇴직금 및 급여 지급규정 실무 (2021. 08. 24)
TO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