Ⅰ. 아웃소싱(Outsoucing) 업무안내
1. 아웃소싱의 개념
아웃소싱(Outsourcing)이란 기업이 수행하는 다양한 활동 중, 전략적으로 중요하고 또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나 핵심역량에 모든 자원을 집중시키고, 나머지 분야는 외부의 전문가에게 위탁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 시키는 전략을 말합니다.
아웃소싱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외주, 대행, 분사화, 컨설팅, 파견업무 등이 있을 수 있겠으나, 아웃소싱은 이모든 개념을 포괄하는 가장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.
2. 아웃소싱의 필요성
급변하는 요즘 경제환경에서 기업이 유연화가 되어있지 못하면 시대흐름에 뒤떨어지기 마련입니다. 특히 기업의 구조가 복잡할수록 환경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. 기업은 새로운 기업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그 외의 비핵심 부분은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 될 수 있어야 합니다.
즉, 핵심부문만을 내부에 남기고 나머지 분야는 외부 네트워크를 활용 하여 아웃소싱하는 것이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.
기업이 아웃소싱을 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-
첫째, 주력업무에 경영자원을 집중하고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입니다.
비효율, 고비용부문과 주변적인 업무를 외부전문기관에 아웃소싱하고 핵심역량에 경영자원을 집중함으로써 경쟁사와의 차별성을 더욱 부각시켜 주력업무의 전문성과 품질향상, 경영체질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됩니다.
-
둘째, 조직을 슬림화, 유연화시켜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함입니다.
아웃소싱을 하게 되면 유연화된 조직을 구축하게 됨으로써 시장, 경쟁환경, 기술 등의 변화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위험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습니다.
-
셋째, 시너지효과에 의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함입니다.
기업과 외부전문가의 파트너십이 가져오는 시너지효과에 의해, 모든 것을 자기회사 내부에서 스스로 해결하는 자족주의에서 탈피하게 되고 업무의 전문성이 강화되게 됩니다.
-
넷째, 장기적으로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.
전문가를 기업내부에서 스스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자원의 투입과 자금, 시간이 필요하므로 외부전문가에 아웃소싱하게 되면 보다 적은 비용으로 극대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됩니다.
-
다섯째, 정보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기 위함입니다.
외부전문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네트워크와 기업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킴으로써 기업경영에 유용한 외부정보를 입수하게 되어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됩니다.
3. 세림의 회계업무 아웃소싱 및 경영컨설팅 방향
기존의 전통적인 세무서비스는 세무사무실 내에서 기장대행, 세무조정, 신고대리 등의 업무가 모두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.
세무사무실에 세무기장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경우와는 달리, 일정규모 이상의 기업들이나 벤처기업의 경우에 있어서는 규모적 요인이나 재무적 요인에 의해서 금융당국이나 세무당국 등 관심을 가지는 외부 이해관계자가 많은 이유로, 회계적 내부통제구조를 잘 갖추어야 필요가 있으며, 좀 더 엄격한 판단에 따라 세무 처리가 요구되기도 합니다. 그러한 이유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세무 서비스와 자문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.
당 법인에서는 의뢰 회사의 요구 필요에 따라 회사의 회계부분 전부를 일괄하여, 또는 그 중 일부 부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무를 위임받아 대행해드리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(Payroll 아웃소싱 & 회계부문 아웃소싱)
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당 법인의 세무사와 실무자가 회사의 경영자나 실무자와 자주 접촉할 기회를 가지는 과정에서 세무회계상의 문제점이나 업무개선을 통한 절세방안들에 대하여, 보다 효과적인 조언(컨설팅서비스)을 해드릴 수 있게 됩니다. 또한 다양한 회계적 세무적 사건들이 발생할 경우 즉응적 처리를 통해 원하시는 정보를 그때그때 받아볼 수 있도록 합니다.
4. 업무착수 과정